<br /> “대한민국 해군입니다. 안심하십시오!” 10년 전 아덴만에 울려 퍼졌던 외침이다. 지난 21일은 ‘아덴만 여명작전’ 성공 10주년이었다. 2011년 1월 21일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삼호주얼리호 선원을 안전하게 구출했던 작전이다.<br /> <br /> <br /> 작전 이후 10년간 중동지역의 위협은 더욱 커졌고, 이는 호르무즈 해협 일대로 확대됐다. 지난 4일 한국 선박이 이란에 나포된 건 예고된 사건이다. 하지만 영해와 한반도 근해를 넘어선 해양교통로 보호 방안을 두고선 군 안팎에선 좀처럼 의견일치를 보이지 않고 있다.<br /> <br /> <br /> <br /> 10년 전 해적의 한국 선박 나포는 기습적으로 이뤄졌다. 그해 1월 15일 스리랑카로 항해하던 그때 해적선이 출몰했다. 해적 모선에서 내린 소형 모터보트 두 척이 바짝 다가왔다. 해적 13명은 사다리를 걸고 6m 높이 선박을 순식간에 올라탔다.<br /> <br /> <br /> “해적이 탔다. 즉시 피난실로 대피하라.” 한국인 8명과 외국인 등 선원 21명은 3분 만에 대피했다. 비상통신기와 간단한 음식을 챙겨 들어가 철제문을 걸어 잠갔다. 하지만 해적은 대형 망치로 문을 부수고 들어와 AK 소총과 칼로 선원을 위협했다.<br /> <br /> <br /> 2009년부터 아덴만 해역에서 한국 선박 보호 임무를 맡았던 청해부대가 현장으로 급파됐다. 다국적 대해적 작전을 지휘하는 연합해군사령부(CMF)에도 협조를 요청했다. <br /> <br /> <br /> 국내에서도 대책 논의가 시작됐다. 청와대와 국방부를 비롯해 외교부 등 전 부처가 머리를 싸맸다. 군사 작전을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3977017?cloc=dailymotion</a>
